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방배동 한의원
- 한포진 치료
- 인천 사상체질
- 구월동 두통
- 인천 두드러기
- 인천 피부질환
- 사상체질
- 구월동한의원
- 인천 습진
- 인천 한의원
- 구월동 봉침
- 경희수세보원한의원
- 한방다이어트
- 강서구 한의원
- 인천한의원
- 하지불안증후군
- 인천 한포진
- 약재이야기
- 원내탕전
- 불면증
- 인천 피부 한의원
- 강서구 한방다이어트
- 구월동 한의원
- 인천 건선
- 구월동 사상체질
- 비염
- 한의학
- 한방치료
- 인천 피부병
- 구월동 습진
- Today
- Total
목록약재이야기 (9)
경희수세보원 한의원 (구월동) 461-1617

백질려는 남가새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 남가새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질려자(蒺蔾子)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전라남도를 비롯해서 중국과 일본 바닷가의 비옥한 모래밭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줄기는 밑에서 가지를 치며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며, 길이는 1m 정도에 달합니다. 원줄기, 엽축, 꽃대는 꼬부라진 짧은 털과 펴진 긴 털이 있습니다. 잎은 길이 1~6cm로서 짧은 자루가 있고, 4~8쌍으로 된 우수우상복엽이며, 작은 삼각형 피침상의 탁엽이 있습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으로 양쪽이 같지 않으며, 끝이 뭉툭하고 잎 뒤에 백색 눈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7월에 황색꽃이 피며 엽액에 하나씩 납니다. 열매는 다섯개로 갈라지고 각 조각에는 두개의 뾰족한 돌기가 있으며 표피는 각질입니다. ..
숙지황은 혈과 기를 보호해주고 신장을 건강하게 해주며 진음을 더 해주어 보혈 및 강장의 효능으로 두루 쓰이는 보약의 대표적 약재 입니다. 생지황의 뿌리를 술에 9번 쪄 내어 숙성시킨 약재를 말합니다. 조선왕실의 보약이였던 경옥고를 만들때 빠지지 않는 약재가 숙지황입니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본초로 불리웁니다. 한방에서는 지황이라는 식물의 생뿌리를 생지황, 술에 쪄 낸것을 숙지황, 말린것을 건지황이라 부릅니다. 지황을 한번 심었던 자리는 땅이 황무지가 되어 10년이 지나야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지황의 또다른 이름인 이명 지수(地髓)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 땅의 정수(精髓)를 일컫는 지수라는 이름처럼 땅의 기운과 영양분을 지황이 모두 담아가기 때..

요즘 피로회복과 간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밀크씨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밀크씨슬은 엉겅퀴라는 식물의 줄기안에 들어있는 하얀 액체를 가공해서 만드는 영양제입니다. 밀크씨슬 뿐만 아니라 어린잎부터 뿌리, 줄기에 이르기까지 간에 좋은 약초로 인정 받고 있는 엉겅퀴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엉겅퀴는 전체가 털로 덮혀있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잎은 신 타원형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크고 작은 가시가 있습니다. 자주색 또는 적색 꽃이 한 여름에 가지 끝에 한 송이씩 위를 향해 피며 한 송이 꽃 안에는 수백 개의 통 모양으로 생긴 작은 꽃이 들어있습니다. 열매에도 털이 달려있으며 성숙하면 민들레처럼 바람에 날려 번식합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엉겅퀴를 귀계 또는 대계로 표기하며 엉겅퀴 종류의 통칭으로 이해하면서 뿌..

어디에나 잘 어울리고, 꼭 필요한 것을 가리켜 '약방의 감초'같다고 합니다. 한약에 감초를 넣는 경우가 많다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즉, 어떤 일에나 빠짐없이 끼어드는 사람 또는 무슨 일을 하든지 꼭 있어야 하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실제로 감초는 상당수의 한약처방에 들어가는 약재입니다. 감초는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이태리 남부, 만주등에서 자생되고 있는 여러해살이 풀로 주로 약용으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뿌리는 적갈색인데 땅 속 깊이 뻗어 들어가고 줄기는 1m정도 되면서 보라색 꽃이 7~8월에 핍니다. 우리가 아는 감초는 이 뿌리를 잘 씻어 말린것을 말합니다. 에 따르면 감초는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온갖 약독을 푼다. 구토의 정(精)이니 72종의 광물성 약재와 1..

오가피는 하늘의 별(星)의 정기를 받고 자라 영험있는 약초라 하여 예부터 널리 귀하게 쓰이던 약초입니다. 생김새는 가지끝에 산삼의 잎과 비슷한 5개의 잎이 달린 모양입니다. 자생지역은 내한성(耐寒性)식물이라 우리나라, 일본, 중국의 북부지방, 러시아등 한대권에 분포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나는 오가피의 종류는 섬지역의 섬오가피, 잔털 같은 가시가 빼곡히 나와있는 가시오가피, 크고 날카로운 가시가 드물게 나와 있는 민오가피 등이 있습니다. 공통점은 모든 오가피가 나이먹으면 잔털같은 가시가 점차 민오가피처럼 없어지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나지만 현재 자연산은 거의 멸종하고 대부분 재배된 오가피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오가피의 학명은 아칸토 파낙스입니다. 아칸토는 약, 파낙스는 만병을 다스린다는 뜻의 합성어..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방향성 초본 당귀을 뿌리를 말하며 대표적인 약용 식물이다. 식물형태를 살펴보면 높이는 60~90cm정도이며, 꽃은 희색으로 8~9월경에 원 줄기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약재의 형태는 굵고 짧은 주근으로부터 줄기 및 잎의 잔기가 남아있다. 주근의 길이는 3~7cm정도 이고 지름은 2~5cm이며, 가지뿌리의 길이는 15~20cm정도다. 예전에는 산에서 채취했으나 최근에는 많이 재배한다. 당귀 뿌리와 잎에서 퍼지는 은은한 한약냄새를 즐기고 건강 쌈 채소로 잎을 많이 이용한다. 연한 당귀 잎을 뜯어 상추쌈을 먹을 때 같이 곁들이면 색다른 향을 맛볼 수 있다. 『자연농법 자재만들기』에 보면 가을에 뿌리를 캐서 술을 담근다든지, ..

광나무라고 불리며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교목이다. 우리나라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해안이나 섬지방의 야산에서 흔히 자란다. 생장이 빠르고 맹력이 강해서 수형을 마음대로 다듬을 수 있으므로 울타리로도 심는다. 여정자나무라고도 불리우는데 키가 10m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이 마주나고 7~8월에 흰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길이 7~10mm로 10월부터 겨울동안 매달려 있는데 그 생김새가 쥐똥나무 열매와 닮았다. 보통 가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렸다가 약재로 쓰인다. 맛이 쓰면서 달고 성질은 평하다. 함성 즉 소금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한 나무로 유명하다. 그런까닭에 여느나무보다 훨씬 오래 살고 또 죽은 뒤에도 수백년 혹은 수천년 동안 썩지 않는 특징이 있다. 광나무 열매를 여정실이라고 하는데 올레아놀산과 알..

도라지로 불리우는 한약재 길경이라는 이름은 뿌리가 단단하고 곧기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이 약재는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징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길경은 폐에 작용하여 해수와 가래가 많고 호흡이 불편한 증상을 치료하며, 폐를 맑게 하고 답답한 가슴을 풀어주며 뱃속의 찬 기운을 풀어주어 기침을 멈추고 담을 없앤다. 소변을 잘 보지 못하여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양이 적을 때도 쓴다. 인후통,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코막힘, 천식, 기관지염증, 흉막염, 두통, 오한, 편도선염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거담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개선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불규칙하게 가늘고 긴 방추형이나 원추형이며 때때로 분지되어 있고 바깥면은 회갈색, 엷은 갈색 ..

한국,중국,일본 모두 콩과의 덩굴식물 칡의 말린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말린 뿌리를 말한다. 갈근이란 갈씨 집안의 뿌리, 즉 근원이라는 뜻으로 갈씨 성을 가진 소년을 구해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산속에서 약초를 캐는 노인에게 한 소년이 "저는 갈씨 성을 가진 사람의 외아들로서 간신의 모함으로 가족이 죽임을 당하고 저만 도망쳐 나왔으니 좀 구해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당시 갈씨 가문이 충신 집안이었던 터라 노인은 소년을 숨겨놓고 군사를 따돌렸다. 그 후 소년은 노인과 가족처럼 살면서 약초를 배우게 되었는데 노인이 세상을 떠난 뒤 노인한테서 배운 의술로 병자를 고쳤으며 평소 잘 쓰던 약초의 이름을 자신의 성과 뿌리라는 뜻으로 '갈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약재는 맛이 달면서도 매우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