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수세보원 한의원 (구월동) 461-1617

사암침법의 문제점과 해결 방법 본문

한의학이야기

사암침법의 문제점과 해결 방법

수세보원 2025. 2. 17. 22:42

사암침법은 정격, 승격, 한격, 열격 등으로 구성됩니다.

정격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승격이 그 다음이고 한격, 열격은 사용 빈도가 적습니다.

 

보사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침을 기울여 놓는 영수 보사가 많이 사용되고

오전, 오후, 남자, 여자, 양경, 음경 등에 따라 침 회전의 방향을 바꿔서 보사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됩니다.

두 가지 모두 효과가 있고, 비슷한 효과가 있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대장정격의 경우 곡지, 삼리를 보하고 양곡, 양계를 사합니다.

폐정격의 경우에는 태백, 태연을 보하고 소부, 어제를 사합니다.

이 두 가지는 태음인에게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태양인에게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소음인, 소양인에게는 일부 효과가 있거나 효과가 없습니다.

이것은 변증이나 경락 선정의 문제가 아니고 보사의 방법이 틀렸기 때문입니다.

태양인이라면 태백,태연을 사하고 소부,어제를 보하면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신정격, 소장정격 등 다른 모든 침법도 체질에 따라 효과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합니다.

그래서 체질을 모르고 사암침법을 구사할 때는 일부 시행착오를 겪어야 적합한 처방을 찾을 수 있습니다.

 

내가 다른 글에서 일반 두드러기와 콜린성두드러기에 소장정격을 쓴다고 했는데,

후계, 임읍과 전곡, 통곡의 보사는 체질에 따라 다릅니다.

보사만 맞게 하면 모든 체질의 대부분의 두드러기에 효과가 있습니다.

 

경희수세보원한의원

원장 김영훈

 

 

Comments